본문 바로가기

KBS 기자와 권력자 저널리즘 토크쇼 J 라이브에 출연한 KBS 김덕훈 기자는 조국이 양승태나 김학의와 마찬가지로 권력자이므로 기자로서 엄밀히 의혹을 보도해야 하며, 양승태나 김학의와 달리 가족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가족에 대한 취재 및 보도 역시 정당하다고 말했다.(또는 그렇게 말한 것으로 내가 이해했다) 흔히 권력자에 대한 언론의 감시기능은 당연한 것으로 이해된다. - 조국의 비리의혹은 '권력자'가 되기 이전, 대학교수일 때의 시점에 집중되어있다. 대학교수는 대법원장(양승태), 검사(김학의)와 같은 권력자인가? - 조국 가족의 비리의혹은 불법적 재산증식(사모펀드) 및 사문서위조(자녀입시)에 관한 것이다. - 양승태는 사법부의 수장으로서 재판거래, 재판자료 누설, 비자금 조성, 인사전횡 등을 저질러 국가조직과 법을 유린하였다.. 더보기
다음 메인을 점령한 조중동 제목은 저렇게 썼지만 사실 통계를 내본 것도 아니고 정확한 근거가 있는 것도 아니다.다음 포털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의 경험에 비추어볼 때요새 다음 메인의 뉴스 기사 상당부분이 조중동, 그 중에서도 조선일보가 차지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다. 조중동의 다음 뉴스 보이콧 사건을 기억하면 격세지감이라고 할까.분명 요새 다음 메인에서 뉴스를 클릭해보면 조선일보가 차지하는 경우가 예전에 비해서 증가한 것 같다.이러한 변화 시점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카카오톡의 다음 인수와 금년도 사업 구조조정과 함께 나타난 현상일 것 같다.그런 면에서 조금은 걱정도 된다. 다음의 의사결정권자들이 가진 생각이 반영되고 있을 거란 추측 때문이다.그나마 뉴스펀딩은 여전히 볼만한 뉴스들이 많다는 것은 여전히 위안이다. 다음은 어찌.. 더보기
‘이명박근혜 7.5년’… 한국의 좌표를 찍어보자 (스크랩) ‘이명박근혜 7.5년’… 한국의 좌표를 찍어보자(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4136) 시사in의 8월 24일 뉴스다. '자본주의적' 가치를 표방하는 다보스포럼과 프리덤하우스의 국제 지표를 통해 한국의 보수정부가 대한민국을 어떻게 이끌어가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눈에 쉽게 들어오는 그래프가 유용하여 스크랩해둔다. 그래프 이미지는 모두 시사in이 제작한 것이다. 요약하자면 시장경제를 중심으로 한 대부분의 지표 성적에 있어서 대한민국은 보수정부(진짜 보수인지 아닌지 언급하는 건 입아프다)에 의해 침몰해가고 있다. 더보기
신경숙과 창비와 표절, 그리고 이응준 지난 6월 16일 허핑턴포스트 코리아에 실린 이응준의 기사. 이제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가 된 신경숙이 일본 우익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작품을 표절하였다는 의혹을 제기하였다. 사실 의혹을 제기하였다기보다는 문학에 대한 신경숙의 범죄를 고발한 글이다.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 | 신경숙의 미시마 유키오 표절(http://www.huffingtonpost.kr/eungjun-lee/story_b_7583798.html?utm_hp_ref=korea) 하지만 순수한 문학인 신경숙, 외딴방에서 난쏘공을 외울 정도로 읽었던 자연인 신경숙의 대답은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는 것 같다.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작가 신경숙은 표절의혹에 대해 ‘대가’의 자세를 견지한다. 즉 모르쇠와, 대가로서 자잘한 문제까지 대응하.. 더보기
인문학과 자기계발의 만남 작년부터 시작된 포털 다음의 뉴스펀딩은 콘텐츠와 펀딩이 결합된 독특한 실험이다. 다음에서 적극적으로 메인에 노출시켜서인지 홍보도 비교적 성공적이다. 심심하면 스마트폰으로 포털을 켜는 습관 때문에 뉴스펀딩의 여러 콘텐츠를 애독하고 때로는 펀딩에 참여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뉴스펀딩 메인에 자주 오르는 이지성 작가의 인문학교육 콘텐츠도 몇 번 읽어보게 되었다. 이지성의 생각하는 인문학(http://m.newsfund.media.daum.net/project/203) '인문학'이라는 주제를 가진 콘텐츠가 반가워서 클릭하게 되었는데 정작 내용은 예상과 많이 달랐다. 게다가 글에 포함된 작가의 많은 사진들은-마치 연예인 화보같은- 뭔가 이질적인 느낌이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 찾아보았더니 내가 과문해서 몰.. 더보기
서전 우서 고요모 7장 천총명 - 사람이 곧 하늘 天聰明이 自我民聰明하며 天明畏가 自我民明威라 達于上下하니 敬哉어다 有土아 하늘이 밝게 듣고 보는 것이 우리 백성이 밝게 듣고 보는 것으로부터 하며, 하늘이 선한 자를 드러내고 악한 자를 두렵게 하는 것이 우리 백성이 드러내고 두렵게 하는 것으로부터 하는 것입니다.상하에 통달하니 공경할지어다 땅 있는 제후들아! 註天之聰明이 非有視聽也요 因民之視聽하여 以爲聰明하며 天之明畏 非有好惡也요 因民之好惡하여 以爲明畏라하늘이 밝게 듣고 보는 것은 (실제로) 보고 들음이 있는 것이 아니고, 백성이 보고 듣는 것을 따라서 밝게 듣고 보는 것이며,하늘이 (선한 이를) 드러내고 (악한 이를) 두렵게 하는 것은 좋아하고 미워함이 있는 것이 아니고, 백성이 좋아하고 미워하는 것을 따라서 (선한 이를) 밝게 드러내고 (악한 이를).. 더보기
지방선거 단상 세월호 시국으로 인해 박근혜 정부에 대해 불신이 가득한 상황에서 야권으로서는 실망스러운 선거 결과가 나왔다 인천, 경기, 부산의 접전 속 패배는 뼈아프다 기초단체장은 서울 지역을 제외하면 새누리당의 압승이라고 봐도 무리가 없을 정도의 수치다 그 어떤 사건이 있어도 그 어떤 문제가 터져나와도 새누리당을 향한 국민의 사랑은 변치않는다 그나마 희망을 찾을 수 있는 건 서울의 승리와 진보 교육감들의 선전이다 아이들의 미래에 작은 희망을 걸어볼 수 있을까 * 부산과 대구의 선전이 대단하다고 하지만, 김부겸은 새정치연합인지 새누리연합인지 알 수 없는 선거운동의 결과였기에 그다지 자랑스러울 것도 없겠다 더보기
태프트-가쓰라 밀약(Taft-Katsura Secret Agreement) 1905년 7월 29일 미국 육군장관(Secretary of War)이었던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와 일본 내각 총리대신 가쓰라 다로는 미국의 필리핀 지배권과 일본의 대한제국 지배권을 상호인정하는 비밀 조약을 맺었다. 이것이 태프트-가쓰라 밀약으로 1924년이 되어서야 세상에 알려졌다. 밀약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1월 17일, 일본은 대한제국과 강제로 을사조약을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이러한 사실을 모른 채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미국에 호소했던 고종의 외교적 노력은 허망할 뿐이었다. 상호 양해와 협력을 약속했던 미국과 일본은 이후 태평양 전쟁으로 적국이 되었다가 냉전과 함께 다시 긴밀한 동맹국으로 발전했다.'혈맹'이나 '미제'라는 수사만으로는 미국을 설명할 수 없다. 미국은 미국의 이익을 최.. 더보기